Saturday, September 29, 2007

Wednesday, November 29, 2006

2003년 7월... 재무실에 온 지 일년 반이 지났지만 난 여전히 헤매고 있었다. 이론적 기반도 약한데다가 기발한 아이디어 창출 능력이나 철저한 논리력도 부족하여 팀원 역할을 제대로 못 해내고 있었다. 이러한 위기 의식 속에서 가장 시급한 것이 이론적 지식 함양이라고 생각했고, 이를 위해 무엇을 해야하나라는 고민 중에 찾아낸 것이 CFA과정이다. 2003년 12월 1차 시험을 목표로 학원을 등록하고 거의 5년만에 다시 책상에 앉았다. 그렇다면 내가 CFA 1차를 준비하면서 어떤 것을 얻었으며, 그것이 CFA를 따려는 이유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과목별로 짚어 보자.

웃기는 말이지만 회계원리를 다시 배우면서 내가 왜 대학교 때 회계를 그리 멀리 했는지 알게 되었다. 말 그대로 회계의 원리로 접근하지 않고 회계의 방법론만 배웠기 때문이었다. 회계원리를 가르쳐 주신 김성균회계사님은 원리를 스스로 터득한 천재(^^)신 지라 원리에 대해 자신만의 방식을 갖고 있었고, 그 방식에 따라 설명해 주셨으며, 난 가뭄의 단비를 맞듯 그 분의 원리를 빨아 들였다. (정말 빨아들였다는 말이 정확하다. 쪼악쪼악 원리가 하나씩 몸에 빨리는 느낌은 가히 환상적이었다) 7월과 8월을 그렇게 보내면서 난 만약 시험에 떨어지더라도 후회는 없으리라는 확신을 갖게 된다. 내가 원하는 것은 자격증이 아니라 바로 이런 원리에 기반한 이론적 바탕이었기 때문이다. 회계원리를 체득하면서 CFA라는 자격증보다는 그 과정 자체가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 능력의 이론적 바탕을 다지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그러나 경제학... 모 회계사로부터 수강한 경제학은 말 그대로 최악이었다. 한번은 강사의 오류를 내가 수정한 적도 있었으니...(난 경제학원론, 미시/거시경제학을 듣긴 했으나 재정정책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수준이었음에도...) 독학이 시작되었다. 대학 때의 책을 다시 뒤져가며 경제학을 파기 시작했다. 효용이 왜 감소해야만 하는지부터 재정/통화정책이 환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까지 모든 것이 의문투성이였다. 그러나 경제학을 다시 공부하면서 큰 그림이 그려지기 시작했다. 신문기사가 눈에 다시 들어오고 아침 뉴스의 경제브리핑이 이해되기 시작한 것이다. 아... 경제학이 이래서 중요하구나...라는 인식... 인식이 전환되면서 시험을 위한 경제학이 아닌 지식을 위한 경제학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다시 한번 CFA과정의 위력을 절감하면서 공부에 가일층 매진하게 된다. 이후 경제학의 잼뱅이였던 난 경제학을 70%가 넘는 전략과목으로 업그레이드 시키게 된다.

Valuation... 주식분석, 채권분석, 파생상품 분석... 말 그대로 난 이 분야의 초등학생이었다. 듀레이션이 먼지, 미래현금흐름의 할인이 먼지... 대충은 알고 있는 것들이라는 믿음이 여지없이 무너졌다. 아니 알고 있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그런데 이동훈 회계사님의 강의를 쭉 따라가면서 Valuation의 체계를 감잡게 되었다. 물론 1차에서는 깊이 다루지 않는 터라 체계만 잡았다. 1차 과정을 다 마치고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상당했으니... 체계만 잡았다는 것이 제대로 된 설명일 듯 하다. 그러나 그 허술할 듯한 체계는 재무실에서 다루는 많은 업무의 이론적 이해를 도왔다. 특히 채권 파트에 대한 학습은 기업의 자금조달(financing)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Valuation에서 rate(YTM, spot rate, Discount rate, Forward rate, etc)가 어떻게 중요한지 알게 되면서 나머지 개념이나 방법론도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한 것 같다. 이러한 채권의 기초적 지식 함양은 파생상품으로까지 연결되어 내가 전혀 접해보지 못한 세계로의 눈을 뜨게 해주었다.

Corporate Finance... 비중은 작았지만 가장 제대로된 공부를 한 파트이다. 왜냐하면 우리 부서가 다루는 일이 대부분 이 분야이기 때문에... 공부해 보니까 내가 업무 중에 전혀 모르던 내용들이 과거 대학교 교재에 다 나오더라. 이런 것도 모르면서 재무실이랍시도 그때 그때 인터넷을 뒤져가면서 일을 했으니... 지나간 시간들이 참 난감했다. 아니 쪽팔렸다. 한번은 동기가 IRR이 마이너스가 나오는게 가능하냐는 질문을 한 적이 있다. 어라? NPV가 0이 작은 것은 알겠는데... IRR이 마이너스? NPV가 0일 때의 평균할인률이 IRR인데 그게 음수라면...? 이건 사실 지금도 좀 헷갈린데... 만약 IRR이 음수라면 '할인하지 않은 미래 수익'이 초기투자비용보다 작으니까 NPV가 0인건 물론이고 액면 그대로 실패할 사업을 의미한다.(IRR<0> NPV<0, 0 =""> IRR>0 OR IRR<0) 아무튼 난 그 당시 이처럼 기초적인 사업타당성 분석개념조차 제대로 설명할 이론적 바탕이 전혀 없었다. 너무 창피했다. 그런데 CFA가 투자를 위한 이론적 바탕을 테스트하는 시험인 관계로 기업을 분석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므로 Corporate Finance를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데... 이 점이 바로 CFA가 매우 실질적인 지식을 함양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왜 금융회사를 다니지도 않는 니가 CFA를 공부하느냐라는 질문을 한다. 그러나 일반 회사의 재무실에서 일한다면, 금융회사가 아니라고 해도 위에서 말한 것처럼 CFA를 따기 위한 공부는 탄탄한 이론적 체계를 갖게 해 준다. 즉 업무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난 CFA를 공부한 것이고 지금 2차까지 합격한 상태이며, 3차까지 모두 마칠 예정이다. 위에서는 1차 시험을 보면서 느낀 CFA 과정의 효용을 설명한 것이고, 다음엔 2차 과정을 밟으면 느꼈던 CFA 과정의 효용과 어려웠던 점, 필요한 자세 등을 말하고자 한다.

Wednesday, September 20, 2006

"Three lessons from Starbucks's CEO"

By Carmine Gallo

Starbucks' Secret Ingredient
How you can incorporate coffee chain chairman Howard Schultz’ persuasive communication skills in your workplace.
If you've set foot in a Starbucks (SBUX ) recently, there's no doubt you've been exposed to marketing for Akeelah and the Bee, the story of a young girl who tries to make it to a national spelling bee. The movie opened Apr. 28 and represents the coffee chain's first major push into theatrical releases -- part of a joint-marketing agreement with Lionsgate to promote the film (see BW Online, 5/1/06, "Howard Schultz Looking For His Next Act").
In many ways the story of a poor child with big dreams reflects the upbringing of Starbucks Chairman Howard Schultz, who grew up in the housing projects of Brooklyn and now oversees the Seattle-headquartered coffee empire (see BW Online, 4/26/06, "Starbucks Perks Up Socially Conscious Films").


In the past few weeks I have seen Schultz profiled on 60 Minutes and the new CNBC show American Made. I found it inspiring that Schultz has maintained a very strong, persuasive, and consistent message since the time he granted me an interview for my book. His powerful communication skills define a leader who knows not only what he stands for, but also the values he promotes, and who knows how to make an emotional connection with his listeners. In fact, Schultz majored in communications in college, took public-speaking courses, and credits much of his ability to win over investors, customers, and employees to his communication skills.

There are three qualities that I think help Schultz stand out as a persuasive business communicator. My observations and three lessons you can incorporate into your own workplace follow: SHARES HIS PASSION. Schultz is fiercely passionate about what he does. But understand that his passion is not only about the coffee. He sells much more. You see, while Schultz loves coffee, he's passionate about creating a workplace that treats people with dignity and respect. That's the message he conveys consistently to employees, customers, and investors. In Schultz's book, Pour Your Heart Into It, the word "passion" appears on nearly every other page. But he doesn't leave his enthusiasm on its pages. In conversation, Schultz exudes an authentic, unbridled passion for his employees and their lives. It rubs off on his listeners. "You either have a tremendous love for what you do, and passion for it, or you don't," Schultz told me. "So whether I'm talking to a barista, a customer, or investor, I really communicate how I feel about our company, our mission, and our values. It's our collective passion that provides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place because we love what we do and we're inspired to do it better. When you're around people who share a collective passion around a common purpose, there's no telling what you can do." Lesson 1: Dig deep to identify what you are truly passionate about (hint: it's not always the product itself) and convey that message to employees, customers, and colleagues. When you are passionate, you come across as excited, energetic, and enthusiastic -- all of the qualities people like to see in others. And if people like you, they're more likely to do business with you or to back your vision. While Schultz's passion rubs off on employees, it was his enthusiasm mixed with the ability to paint a vivid picture of what he was trying to accomplish that convinced skeptical investors to back his original concept. Schultz makes his money off coffee beans -- whole, ground, or what have you -- but what he's really selling is a blend of coffee and romance. Schultz has succeeded in painting a picture of comfort and community -- a third "destination" between work and home. During a now-famous trip to Italy, Schultz's life changed forever when he took his first sip of espresso and steamed milk and looked around the cafe on a piazza in Milan. The Italians were passionate about their coffee drinking and treated it as a way to socialize. Schultz transported this vision back to the U.S. -- painting a vivid picture of Italy's espresso-bar culture and how Starbucks could replicate that experience. His pitch helped to transform a small Seattle coffee-bean store into a global brand serving some 40 million people a week. Lesson 2: Inspire your colleagues, investors, or employees by painting a picture of a world made better by your service, product, company, or cause. The very first line of Schultz's book has nothing and everything to do with Starbucks. Schultz begins by writing, "On a cold January day in 1961, my father broke his ankle at work." The story of how his father's injury left his family with no income, no insurance, and no safety net marked a turning point in Schultz's life. He consistently tells this story to employees, journalists, and shareholders as a way of inspiring his audiences to support his vision. I was not surprised to hear it again in the CNBC program. "What does your dad being laid up by a bad ankle have to do with roasting coffee beans?" I once asked Schultz. "On many levels, the experiences I had as a young child formed my values and my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t for people to be left behind," he responded. "We hire 300 people a day. It's very important new people understand that when I started this company I had nothing -- what drove me then and what drives me today is to build a different type of compan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are respected and dignified in the workplace." Schultz believes that personal stories inspire those around him by creating shared values. Lesson 3: To get the most out of people, a leader has to tap into their emotions as well as their minds. People can relate to stories. They can see themselves in other people's stories. The ability to use stories to get people to buy into one's vision with their hearts is a powerful leadership capability. Schultz never would have achieved his vision if it hadn't been for the passion and dedication of those around him. It was, and continues to be, essential that his staff all share a common vision. Through persuasive communication skills, Schultz made his dreams come true and continues to share them with thousands of employees, investors, and customers around the world.




Lesson 1: Dig deep to identify what you are truly passionate about (hint: it's not always the product itself) and convey that message to employees, customers, and colleagues. When you are passionate, you come across as excited, energetic, and enthusiastic -- all of the qualities people like to see in others. And if people like you, they're more likely to do business with you or to back your vision.


Lesson 2: Inspire your colleagues, investors, or employees by painting a picture of a world made better by your service, product, company, or cause.


Lesson 3: To get the most out of people, a leader has to tap into their emotions as well as their minds. People can relate to stories. They can see themselves in other people's stories. The ability to use stories to get people to buy into one's vision with their hearts is a powerful leadership capability.

Sunday, August 27, 2006

[새내기 부자되기] 워런 버핏은 절약의 귀재
사람들은 일확천금을 꿈꾼다.
한탕으로 많은 돈을 벌려고 한다.
하지만 부자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부(富)란 절약을 생활속에 실천해 종자돈을 만든 뒤 꾸준히 불려나가는 기나긴 인고(忍苦)와 노력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 과정을 참고 이겨내는 사람들만이 부(富)라는 달콤한 과실을 맛볼 수 있다.
그런 뜻에서 부자는 명예로운 타이틀이다.
절약은 부의 씨앗으로 보면 된다.
아름드리 나무가 하나의 씨앗에서 잉태되듯이 작은 절약정신이 비바람 속에서도 싹이 트고 꽃을 피워 커다란 부를 만든다.
실제로 검소하지 않은 부자는 없다.
규칙적인 운동 습관이 건강을 바꾸듯 규칙적인 절약습관이 당신의 인생을 바꾼다.
대부분의 부자들은 너무나 평범한 이 원칙을 지켜 당대에 부자가 됐다.
사람들은 전설적인 투자가인 워런 버핏이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가 세계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부자가 된 근원은 절약에 있다.
그는 아직도 미국의 교외에 살면서 햄버거를 먹는 검소한 생활을 즐긴다.
그는 포천지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자가용 비행기를 구입한 사실을 놓고 "그것이 많은 돈으로 나의 삶을 바꾼 유일한 한 가지"라고 터놓기도 했다.
세계 최대 조립가구회사인 이케아의 창업자로 세계 네 번째 갑부인 잉그바르 캄프라드는 지독한 구두쇠로 유명하다.
주말에는 15년 된 구닥다리 승용차를 몰고 다니고 비행기를 탈 때는 제일 싼 이코노미석만 고집한다.
쇼핑을 할 때도 동네 슈퍼에서 주말 할인 행사가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국제 머니게임의 황제 조지 소로스도 검소한 생활이 몸에 배어 있으며 사치에 대해선 강한 경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는 결국 선택의 문제다.
절약은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의 욕구를 자제한다는 점에서 투자와 마찬가지다.
현재의 욕망을 충족시키고 비참한 미래를 사느냐,밝은 미래를 위해 현재의 욕망을 참느냐는 각자의 판단에 달려 있다.

Wednesday, August 16, 2006

[ 도 입 ] ㅇ 나는 외모에 컴플렉스가 있다. 아시겠지만, 대학교 때 고시 3개를 합격했다. 사법고시 합격, 외무고시 2등, 행정고시 1등, 그리고 서울대 법대를 수석 졸업했다. 학교 졸업 후 부모님께 큰 절을 했었다. 똑똑한 머리를 물려줘서가 아니라, 사실은 변변찮은 외모덕에 그저 고시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해 줬기 때문에 감사하다는 의미로. [ 본 론 ] ㅇ 내 직업은 ① 변호사이면서, ② 방송도 하고, 3년 전부터 ③ 책을 쓰고 있다. 평생 소원이 1년에 1권씩 평생 책을 내는 것이다. ④ 글도 쓴다. 모 신문사에 경제기사를 1주일에 2개정도 쓴다. ⑤ 또 오늘과 같은 특강도 한다. 평균 1주일에 2회 정도. ⑥ 증권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회원수만도 3만 5천명 정도 된다. 나름대로 홈페이지 관련 사업을 하나 구상중인 것도 있다. ⑦ 마지막으로 대학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이처럼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무척 많은 것 같고 어떻게 이걸 다 할까 생각이 들겠지만 다 가능하다. 이 중에서 한가지만 하더라도 힘들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다 가능하다. ㅇ 무엇이든지 목표가 중요하며, 그 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확신이다. 사람들은 어려운 일일수록 확신을 갖지 못한다. ㅇ 학교 다닐 때 누구나 학원도 다니고 과외도 해 봤을 것이다. 고 2때 수학 45점의 낙제점수를 받은 적이 있다. 그 때 대학을 못 간다는 선생님의 말이 나에겐 큰 충격이었다. 그러나 집안이 그리 넉넉하지 않았기 때문에 과외를 한다는 것은 생각 할 수 없었다. 그래서 6개월간 죽어라고 했다. 그리고, 그 해 9월 2학기 때 400점 만점에 400점을 받았다. 그 이후로 매 시험마다 1등 했고, 석달에 한 번 정도 2등을 했었다. 학생시절 나는 여러 차례 내가 결코 남들보다 머리가 좋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고, 남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 남만큼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ㅇ 인생에 있어 2가지 자세가 있다. 보통 사람들은 남보다 적게 노력하고 결과는 남들과 같은 똑같이 나오게 하려고 한다. 사실은 이것이 경제학 법칙에 맞는 것이다. 투입을 적게하고 효과를 많이 내는 것. 반대로, 다른 사람들 만큼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나의 경험상으로 보면 후자가 훨씬 좋은 결과를 낳는다. 남보다 노력을 더 많이 해서 비슷한 결과를 가져 오는 것이 비효율적인 것 같지만, 실제로 이것은 어느 시점이 지나면 훨씬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이 내가 인생을 살면서 내 스스로 내린 결론이다. ㅇ 그럼 노력이란 무엇이냐? 나는 “노력이란 성공의 확률을 높이는 것이다” 라고 정의 내린다. 하지만 물론 결과를 반드시 보장하지는 않는다. 노력에도 함수 관계가 성립한다. * 노력 = f(시간 × 집중) 내가 실제 노력을 했는가 안 했는가를 판단하려면 시간을 많이 투입했거나 집중을 잘 했는가를 살펴보면 된다. ㅇ 똑같은 일을 하더라도 3시간만에 끝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5시간만에 끝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3시간만에 끝내는 사람이 실제 일을 더 잘하는 것 같지만 나머지 2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가 중요하다. 더 많이 알기 위해 그 2시간을 투자하지 않았다면 노력하지 않은 것이다.ㅇ 집중에 대해서 얘기해 보면, 고시 공부할 때 예를 들어 보겠다. 나는 고시 공부를 1년간 해서 합격했다. 어떻게 가능 했느냐? 첫째는 된다고 생각하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고, 둘째는 남보다 더 많은 노력을 했기 때문이다. 보통 고시에 합격하려면, 봐야 할 책이 50권, 권당 페이지는 500P, 그 책을 5번을 봐야 합격하다는 얘기가 있다. 그러나 나는 7번을 보았다. 이를 계산해 보면 50 × 500 × 7 = 175,000 페이지를 읽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것을 1년을 360일로 계산해보면 1일 목표량이 나온다. 즉, 1일 500 페이지 정도의 분량을 봐야 한다는 계산이다. ㅇ 이처럼, 목표를 세울 때는 구체적으로 세워야 한다. 막연한 목표는 달성하기 힘들다. 이 결론을 보면 "인간이 할 짓이 아니다" 라고 생각할 것이다. 누구나 그렇게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면 사람들은 포기하게 된다. 설사 하게 되더라도 하다가 흐지부지 된다. 이렇게 목표에 대해 확신이 없고, 목표를 의심하는 사람은 집중을 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목표에 확신을 가져라. ㅇ된다는 사람만 되고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안 된다.일단 안 된다고 생각하는 대부분의 85%의 사람들은 이미 나의 경쟁상대가 아닌 것이다. 된다고 생각하는 일부만 나의 경쟁이된다. 그럼 경쟁대상이 줄어드니 훨씬 마음도 한결 가벼워 진다. ㅇ 세상도 절대적으로 잘 하는 사람은 원하지도 않고 필요하지도 않다. 남 보다만 잘 하면 된다. 그럼, 다른 사람보다 잘 하고 있는지를 어떻게 판단하느냐? 그것은 나 자신을 판단 기준으로 삼으면 된다. 인간은 거의 비슷하다. 내가 하고 싶은 선에서 멈추면 남들도 그 선에서 멈춘다. 남들보다 약간의 괴로움이 추가되었을 때라야 비로소 노력이란 것을 했다고 할 수 있다. ㅇ 고시 공부할 때 7시간 잤다. 장기간 공부를 해야 할 경우라면 일단 잠은 충분히 자야 한다. 하루 24시간 중 나머지 17시간이 중요하다. 고시생의 평균 1일 공부시간은 10시간 정도다. 그러나 정말 열심히 하는 사람은 잠자는 시간 빼고 17시간을 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 정말, 밥 먹는 시간도 아까웠다. 남들과 똑같이 먹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 것이다. 반찬 떠 먹는 시간도 아까웠다. 씹는 시간도 아까웠다. 그래서 모든 반찬을 밥알 크기로 으깨어 밥과 비벼 최대한의 씹는 시간도 아꼈다. 숟가락을 놓는 그 순간부터 공부는 항상 계속 되어야 했다. 나의 경쟁자가 설마 이렇게까지 하겠냐 하고 생각들면 노력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ㅇ 미국에서 생활 할 때 보면 소위 미국의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은 간단한 샌드위치로 끼니를 때운다. 점심시간을 1시간 이상 그냥 보내는 우리 나라 사람들은 그들에 비하면 일 하는게 아니다. ㅇ 집중을 잘 하는 것은 벼락치기 하는 것이다. 벼락치기 할 때가 더 기억에 오래 남는다고 한다. 우등생은 평소에 벼락치기 하는 마음으로 공부를 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목표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막연한 목표를 가지면 이렇게 긴장이 안되지만 분명하면 항상 긴장되고 집중을 잘 할 수 있다. ㅇ 방송하면서 인생이 많이 바뀌었다. 처음 주변 사람들은 말렸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 나는 세상을 살면서 이런 생각을 해 본다. 사람은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 사람이 해야 할 일이란 남에게 해를 끼치는 일이 아니면 해도 되는 일이다 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면 세상에 해야 할 일이 참 많다. ㅇ 나에게는 인생 철학이 있다. 인생을 살다 보면 A와 B가 있을 때 나는 A가 더 중요하지만 B를 선택해야 할 경우가 많다. 그럴 때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는 매우 중요하다. 학교 다닐 때 나는 A는 여자친구 였고, B는 고시 합격 이었다. 대학시절 한 때 A는 내게 무척 중요한 시기가 있었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t1,t2판단법이란게 중요하다. 내가 A를 선택하면 난 B를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은 줄어든다. 그러나, 나의 외모 컴플렉스 때문에 A를 성공하는 일 또한 확신이 없었다. 그래서 나는 B를 먼저 해서 좀 더 유리한 조건이 되면 A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결론을 내리면 고시합격을 더 빨리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집중도 잘 되었다. 이것이 내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느낀 것이다. 장기간 동안 시간의 흐름을 계산해 볼 때 무엇을 먼저 해야 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ㅇ 그래서 난 남들이 말려도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코미디 프로에도 나갈 수 있었다. 난 " 할 수 있을 때 뭐든지 해 버리자 " 라는 생각으로 할 수 있는 건 다 한다. 그러면서 인생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쌓아 가면 된다. 하다가 안되면 포기하더라도 아예 안 하는 것보다는 낫다. 아예 하지 않으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 ㅇ 나의 징크스는 시험에 합격하려면 10번을 봐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 합격의 확신을 갖는다. 3~4번만 보면 불안하다. 그래서 그냥 뭐든지 기본적으로 10번을 본다. 몇 번 3~4번 책을 보고 시험을 본 적 있다. 역시 떨어졌다. [ 결 론 ] ㅇ 앞으로는 이렇게 해 보자. 첫째는 남보다 많이 노력하는 것이다. 둘째는 어려운 목표일수록 확신을 가져 보자. 그러면 정말 되는 일이 훨씬 많다. 셋째는 남보다 최소 3배는 해야 한다고 생각하자. ㅇ 직장에서 윗 사람이 일을 시킬 때 남보다 더 많은 일을 시키고, 나한테만 어려운 일을 시키더라도 신나는 표정을 지어보자. 대부분의 사람, 아니 나의 경쟁자는 이럴 때 얼굴을 찌푸릴 것이다. 그러나 내가 이기려면 그들 보다는 다른 모습이어야 한다. 힘들더라도 괴로움을 추가해 보자. ㅇ 남들에 비해 노력한 만큼의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3배의 노력만 한다면 4번째 부터는 분명 가속도가 붙어 급속도로 차이가 날 것이다. ㅇ 마지막으로 대인관계에 대해 강조하고 싶다. 세상을 살다보면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노력이다. 성공을 위해서는 나 혼자의 노력 외에 대인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경우가 있다. 어떤 상대를 만나든 최소 5분은 상대방을 위해 생각하는 시간으로 할애해 보자. ㅇ 남과 똑같이 해서는 절대 노력했다고 할 수 없다.

Tuesday, August 15, 2006

PepsiCo names first woman CEO
CFO Indra Nooyi to succeed Steve Reinemund, putting her among the leading women in corporate America.
By Parija B. Kavilanz, CNNMoney.com staff writer
August 14 2006: 4:04 PM EDT
NEW YORK (CNNMoney.com) -- Soft drink and snack company PepsiCo Inc. announced Monday that chief financial officer Indra Nooyi will take over from Chairman and CEO Steve Reinemund this October. She becomes the first woman to hold the post and enters the list of leading women in corporate America.
Reinemund, who has seen PepsiCo (Charts) pass rival Coca-Cola (Charts) in terms of market capitalization in December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will remain as chairman of the company until his retirement.
Pepisco Chief Financial Officer Indra Nooyi, who will assume the CEO job in October.
Indian-born Nooyi, who was ranked No. 11 in Fortune's list of the most powerful women in business, joined the company in 1994 and was named CFO in 2001.
Reinemund cited personal reasons for his decision to retire.
"My family is entitled to more time from me than th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of continuing as PepsiCo's CEO requires and deserves," Reinemund said in a statement. "It was, in many respects, the toughest and easiest decision of my life."
"Steve did a remarkable job in maintaining discipline and consistency at Pepsi over the last several years. Indra is a supertalent. No doubt, under her leadership, Pepsi will not miss a beat in this transition," said John Sicher, editor of trade publication Beverage Digest.
Nooyi's current responsibilities will be divided between two PepsiCo veterans: Richard Goodman, who is CFO of PepsiCo International and Hugh Johnston who is currently a senior vice president with the company.
She becomes the fifth CEO in PepsiCo's 41-year history. As CFO, analysts credited her with transforming the company's global strategy at a time when both Coke and Pepsi face a challenging sales environment in their core domestic market for core carbonated soft drinks as more health-conscious consumers buy more juices and water.
Nooyi was the primary architect of PepsiCo's restructuring, including the divestiture of its restaurants into YUM! Brands (Charts), the spinoff and IPO of company-owned bottling operations into Pepsi Bottling Group (Charts), the acquisition of Tropicana and Pepsi's merger with Quaker Oats.
Prior to joining Pepsi, Nooyi's other corporate jobs included vice president and director of corporate strategy and planning at Motorola and consultant with Boston Consulting Group.
"Indra's is brilliant in terms of business strategy. She's someone who can think and move several steps ahead in this game of business chess," said Sicher of Beverage Digest.
Morningstar analyst Matt Riley wrote in a research note Monday that Nooyi was already being groomed as Reinemund's heir apparent and therefore would be well prepared to handle her new role.
Shares of PepsiCo were up less than 1 percent in early trading Monday following the announcement.

Sunday, August 06, 2006